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천주교 단체모임 회칙만들기 천주교 단체모임 회칙: 핵심과 실천천주교 단체모임은 신자들의 신앙생활을 풍요롭게 하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며, 교회의 사목 활동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단체모임의 활동을 효율적으로 이끌고, 신자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회칙이 필요합니다.회칙이란 무엇일까요?회칙은 특정 단체나 조직의 활동 원칙과 운영 방식을 규정한 문서입니다. 천주교 단체모임의 회칙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단체의 목적: 단체가 추구하는 목표와 비전을 명확히 밝힙니다. * 단체의 구성원: 단체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과 권한, 의무를 규정합니다. * 단체의 조직: 단체의 운영 체계와 의사결정 과정을 명시합니다. * 활동 내용: 단체가 수행하는 활동의 종류와 방법을 제시합니다. * 회의 운영: 단체 회의를 진.. 2024. 12. 28.
성체성사와 미사의 차이점은? 성체성사와 미사,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사실상 성체성사와 미사는 같은 것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성체성사: 축성된 빵과 포도주, 즉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받아 모시는 의식을 뜻합니다. * 미사: 라틴어 'missa'에서 유래된 말로, 성체성사를 거행하는 예식 전체를 가리킵니다.즉, 미사 안에서 성체성사가 이루어지는 것이죠.왜 둘 다 쓰일까요? * 성체성사: 성체, 즉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중심으로 한 신앙의 신비를 강조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 미사: 예식 전체를 지칭하며, 공동체의 기도와 찬양, 말씀 선포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할 때 사용합니다.간단히 정리하면 * 성체성사는 미사 안에서 이루어지는 핵심적인 의식입니다. * 미사는 성체성사를 포함한 전체 예식을 의미합니다.따라서 성체성.. 2024. 12. 28.
묵주기도 방법 묵주기도 방법 묵주기도 바치는 방법 이렇게 묵주의 기도를 마치기 전에 마지막으로 성호경을 긋고 십자가에 친구(입맞춤)합니다. * 묵주기도 바치는 방법 1. 묵주에 달린 십자가를 잡은 채 십자성호(성호경)를 이마, 가슴, 양 어깨 순으로 긋고 십자가 발 부분에 친구(입맞춤)한 다음, 사도신경을 바칩니다. 2. 큰 알(또는 간격이 넓은 알)에서 주님의 기도 1번, 작은 알 3개에서 성모송 각 1번씩, 그리고 맨 마지막 알에서 영광송을 바칩니다. 이어서 구원을 위한 기도(구원송)를 바칠 수 있습니다. 3. 그리고 같은 자리에서 신비 제1단(환희의 신비, 빛의 신비, 고통의 신비, 영광의 신비 중에서 하나를 선택)을 묵상한 후 주님의 기도를 1번 드립니다. 4. 이어서 다음의 작은 묵주 알에서 각각 1번씩 성모.. 2021. 1.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