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톨릭_____[カトリック]

예수님은 어째서 나의 원죄 때문에 십자가에 매달리셨나? 원죄란 무엇인가?

by 유성천국 2025. 3. 24.
반응형


기독교 신학에서 원죄는 아담과 하와의 불순종으로 인해 인류에게 전가된 죄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죄는 모든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으며, 하느님과의 관계를 단절시키고 죽음을 초래한다고 여겨집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이러한 원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셨습니다.
기독교인들은 예수님의 희생을 통해 죄 사함을 받고 하느님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원죄와 예수님의 십자가 희생에 대한 이해는 교파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몇 가지 주요 교파의 관점입니다.

선악과


가톨릭교회:
* 원죄는 아담의 죄로 인해 인류에게 전해진 죄의 상태이며, 세례를 통해 씻겨진다고 믿습니다.
*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희생은 원죄와 개인의 죄를 모두 속죄하는 행위로 이해합니다.
개신교:
* 원죄는 아담의 죄로 인해 인간 본성이 타락한 상태이며, 인간은 스스로 구원할 수 없다고 믿습니다.
*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희생은 오직 믿음을 통해서만 죄 사함을 받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정교회:
* 원죄는 아담의 죄로 인해 인간 본성이 약화된 상태이며, 세례와 성찬을 통해 치유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희생은 인간을 죄와 죽음에서 구원하는 행위로 이해합니다.
이처럼 원죄와 예수님의 십자가 희생에 대한 이해는 교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기독교인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죄 사함을 받고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원죄


원죄(原罪, 라틴어: peccatum originale, 영어: original sin)는 태초의 인간인 아담과 하와가 하느님(신)과의 약속을 어긴 죄이다.
원죄의 결과로 전 지구와 모든 인류가 타락하여 인간은 죄를 짓기 시작하게 되었고 중생이 필요하다는 주장으로 라틴어로 문헌을 작성한 아우구스티누스 영향이 큰 서방기독교의 주류 교리이다.[1] 반면, 동방기독교에서는 죄에 대한 교리는 있지만 원죄에 대한 구체적인 교리는 없으며, "조상의 죄"에 해당하는 "프로파토리코 아마르테마"(προπατορικο αμαρτημα)의 개념이 있다.

[출처 :  위키백과 한국어]

한국 성모마리아님

성모마리아님은 어떻게 원죄없이 태어날 수 있었나?


가톨릭 교회에서는 성모 마리아가 원죄 없이 잉태되었다고 믿습니다. 이를 '무원죄 잉태' 또는 '원죄 없는 잉태'라고 부릅니다. 이는 성모 마리아가 예수 그리스도를 낳을 특별한 사명을 위해 하느님의 특별한 은총으로 원죄에서 보호받았다는 교리입니다.

다음은 성모 마리아의 무원죄 잉태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설명을 요약한 것입니다.

* 하느님의 특별한 은총: 성모 마리아는 하느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낳을 특별한 사명을 받았기 때문에, 하느님께서는 그녀를 원죄로부터 보호하는 특별한 은총을 베푸셨습니다.

*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 성모 마리아의 무원죄 잉태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공로를 미리 적용받은 결과입니다. 즉, 예수 그리스도께서 인류를 구원하시기 위해 흘리신 피의 공로가 성모 마리아에게 미리 적용되어 그녀가 원죄 없이 잉태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동정 마리아 대축일


* 교회의 가르침: 가톨릭 교회는 오랜 신학적 논의를 거쳐 1854년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성모 마리아의 무원죄 잉태를 믿을 교리로 선포했습니다.
성모 마리아의 무원죄 잉태는 가톨릭 교회의 중요한 교리이지만, 다른 기독교 교파에서는 이에 대한 해석이 다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