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헐적단식_[間歇的断食]

헬리코박터균 - Helicobacter pylori

by 유성천국 2021. 2. 13.
반응형

헬리코박터균 - Helicobacter pylori 

 

헬리코박터 균 이란?

 

위 점막에는 강산성의 위액으로 인하여 세균이 살 수 없다고 알려져 왔는데 1983년 호주의 로빈 워렌과

배리 마샬이 사람의 위에서 최초로 나사 모양의 균을 배양하는데 성공하였다

 

이후 헬리코박터 균이 만성 위염, 위 십이지장 궤양을 일으키고 위암이나 점막연관림프조직(MALT)

림프종의 원인으로 밝혀졌다

전세계 인구의 절반이 감염되어 있는 이균의 발견으로 2005년 워렌과 마샬박사는 노벨 의학상을 수상하였다

 

헬리코박터 균

 

헬리코박터 균은 어떻게 전염되나?

 

주로 소아기에 감염이 시작되며 가족 간 감염처럼 오랜 시간 같이 접촉하면서 사람 간에 입을 통해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생이 좋은 선진국에서는 감염률이 매우 낮으며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이 감염에 취약하다

우리나라는 1998년에 66.9%의 감염률을 보이다가 2005년에는 59.6%의 감염률을 보이고 있다

 

헬리코박터균 - Helicobacter pylori 

 

감염되면 어떤 병이 생기나요?

 

헬리코박터 균은 만성위염, 위 십이지장 궤양을 일으키고, 위암이나 MALT 림프종의 원인이 된다

1994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이 균을 주요 발암인자로 규정하였다

또한,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이나 소아의 철결핍빈형 등과도 연관되있다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그러나 헬리코박터에 감염된 모든 사람에서 위와 같은 질환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질병은 헬리코박터 균 감염 외에 환경적인 요인과 개인의 유전적 감수성 등 질환 발생의 취약성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게 된다

 

진단 방법은 무엇인가?

 

헬리코박터 균 감염의 진단에는 내시경을 이용하는 방법과 이용하지 않는 방법이 있다

- 내시경을 이용하는 방법

: 위점막 조직검사, 신속요소분해효소검사, 배양검사

- 내시경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

: 요소호기검사, 혈액 내 항체검사, 대변 내 항원검사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일반적으로 두 가지 항생제와 한가지 위산분비 억제제를 병합하여 1주간 치료하면 80% 정도 균을 없앨 수 있다

1차 치료에서 균이 없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병합 요법을 변경하여 재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 대한 상부위장관, 헬리코박터학회는 헬리코박터 균과 역류성 식도염, 위염, 소화성 궤양, 위암 등 전반적인 상부위장관 질환의 원인, 진단 및 치료를 연구하는 학회입니다

헬리코박터균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가까운 병의원에 방문하셔서 상담하세요

 

http://hpylori.or.kr 

 

반응형